영광군청 전경 사진출처-뉴팩트라인


영광군청이 지난 7월 인사 이후 핵심 부서에서 직무대행 체제를 장기간 유지해 행정공백을 초래한 데 이어, 10월 20일 실시된 5급 사무관 대상자 교육 명단을 놓고 조직 안팎의 거센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가장 큰 논란은 정년이 1년밖에 남지 않은 공무원이 승진 대상에 포함된 부분이다. 군청 내부에서는 “이건 사실상 지적직 자리를 지키기 위한 방패용 승진 아니냐”는 날 선 비판이 터져 나오고 있다. 복수의 내부 관계자들은 “조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시간도 많지 않은 인사를 승진시키는 이유가 무엇인지 모두가 알고 있다”며 보은성 인사 의혹을 제기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이번 명단에는 지난 5월 법성포단오제 어르신 문화활동 예산 불법유용 논란에 휘말렸던 팀에 팀장도 포함돼 있다. 당시 행사에서는 남은 예산 일부가 규정을 어기고 부적절하게 사용됐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감사나 징계 절차 없이 승진 대상자로 이름을 올린 사실이 알려지며 조직 신뢰를 더욱 흔들고 있다. 내부 공무원들은 “징계가 먼저가 아니라 승진이 먼저냐”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앞서 지난 7월 인사에서는 백수읍장·홍농읍장·재무과·농정과·상하수도사업소장 등 핵심 부서가 직무대행 체제로 장기간 운영됐다. 정식 보직자가 부재한 상태에서 예산 집행과 행정 추진이 지연되며 행정력 저하와 혼선이 이어졌고, 이후 복귀 인사로 공백이 메워졌지만 여파는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특히 농업유통과장 자리에 사무관 교육도 받지 않은 인사를 직무대행으로 임명하고, 숙련된 ‘배태랑’ 과장들을 읍면사무소로 전보 조치한 점도 여전히 군청 안팎에서 “준비 없는 자리 돌려막기 인사”라는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 간부급 공무원은 “문제가 제기된 인사와 정년 임박자가 버젓이 승진 교육 대상에 포함되는 현실이 조직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다”며 “이런 식으로 인사를 반복하면 군정 추진력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역 주민들도 싸늘하다. 한 주민은 “이건 누가 봐도 짜맞추기 인사고, 특정인을 위한 자리 지키기식 인사”라며 “공정성과 원칙이 사라진 조직에서 군민을 위한 행정을 기대할 수 있겠느냐”고 성토했다.

군관계자들은 “승진 인사는 조직의 신뢰를 결정하는 핵심”이라며 “이번 사안은 단순한 인사 논란이 아니라 인사 기준과 절차의 투명성 붕괴 문제”라고 진단한다. 이어 “직무대행 체제 장기화, 정년 임박자 승진, 예산 유용 논란 인사 포함 등 일련의 과정은 행정의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며 투명하고 공개적인 인사 기준 확립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