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이 주최한 ‘2025 영광군 노사화합 한마음대회’가 공공체육시설을 사실상 술판장으로 전락시켰다는 제보가 이어지면서 지역사회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단순한 내부 친목 행사가 아니라 군민 혈세 2,240만 원이 투입된 대규모 행사로 드러난 데다, 군 내부에서 불법 가능성을 인지하고도 행사를 강행했다는 정황까지 확인돼 비판이 폭발하고 있다.
풋살 경기장 한가운데 설치된 대형 무대와 수십 개의 테이블, 수백 개의 의자, 그리고 음주와 노래에 취한 공무원들의 모습이 제보 사진에 고스란히 담겼다.
특히 부군수가 무대에 올라 노래를 부르고, 일부 공무원들이 술에 취해 비틀거리는 모습까지 포착됐다.
군 담당 주무관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무대 설치는 용역을 줘서 진행했고, 무대 설치 용역비만 2,240만 원이 들었다”고 밝혔다. 행사 전체 비용은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군민의 세금이 ‘공무원 잔치’에 투입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더 큰 충격은 군 내부에서도 위법 가능성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 스포츠산업과장은 본보에 “풋살 경기장에서 이런 행사가 불법인 건 알고 있었다. 하지만 군에서 하는 행사라 어쩔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닌 규정을 알고도 고의적으로 묵인한 행정 행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공공체육시설은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익 목적 이외의 사용이 제한되며, 음주 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또한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 따라 사용 목적 위반 및 예산 집행 부적정은 감사 및 징계 대상이 된다.
군민들의 분노는 거세다.
김모(53)씨는 “행정이 먼저 법을 무시하고 자기들 마음대로 시설을 쓰는데, 군민들에게만 규칙을 지키라고 할 수 있겠느냐”며 “이건 특권이 아니라 행정 갑질”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모(47)씨는 “군민이 세금 내서 만든 시설을 공무원들이 자기 잔치에 쓰는 걸 보고 분노가 치밀었다”며 “불법인 걸 알면서도 강행했다는 건 명백한 직무 태만”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모(39)씨는 “군청이 이렇게 하니까 이제 주민들도 ‘규정’이 아니라 ‘힘 있는 자’가 시설을 차지한다는 걸 뼈저리게 느낀다”며 “이건 행정 불신을 자초한 사건”이라고 직격했다.
전문가들은 “불법 가능성을 인지하고도 행사를 강행했다면 이는 단순한 절차 위반이 아닌 고의성·직무 태만의 영역”이라며 “감사원 감사와 책임자 문책이 불가피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사태는 군민 혈세가 투입된 불법적 행정 운영과 공공시설 특권 사용 문제가 결합된 대표적 사례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지역사회에서는 이미 감사원 감사 청구 움직임까지 감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