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광군이 폭염 대응과 시민 편의를 위해 설치한 ‘미래형 다기능 스마트 그늘막’이 약한 바람에도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군은 그동안 수억 원을 들여 기존 그늘막을 스마트 그늘막으로 교체해 왔으나, 이번 사고로 안전성과 관리 부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사고 현장을 지켜본 상가 주민 강모(68) 씨는 “태양광으로 자동 접히는 최첨단 장치라더니 평소보다 강하지도 않은 바람에 철골이 부러지고 천이 찢겨 나갔다”며 “군이 설치 전 안전 기준과 구조 검증을 제대로 했는지 의심스럽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강 씨는 또 “파손된 그늘막이 바람에 날리는 상황에서도 영광군청 공무원들은 사무실에서 탁상행정만 하고 있었다”며 “하루가 지나서야 현장을 찾아와 임시로 끈으로 묶는 조치를 했다”고 지적했다.
스마트 그늘막은 기온이 일정 수준 이상 오르면 자동으로 펼쳐지고, 바람이 강해지면 스스로 접히는 기능을 갖췄다고 홍보됐지만, 이번 사고에서는 약한 바람에도 제때 반응하지 못해 구조물이 그대로 손상됐다. 전문가들은 “해안 지역 특성상 다양한 기상 조건을 고려해야 하는데, 기본적인 내풍 설계와 안전성 검증이 부실했던 것이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현재 영광군 관내에는 총 45개의 그늘막이 설치돼 있으며, 이 중 20개는 수동형, 25개는 자동 스마트형으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자동 스마트형 그늘막은 대부분 동일한 특정 업체의 제품으로 납품된 것으로 알려져 특정 업체 편중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지역 주민과 일부 관계자들은 “다양한 업체의 기술을 검토하지 않고 특정 제품만 대거 선정했다면 공정성·투명성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며 철저한 조사와 계약 과정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기계 결함으로 파손이 발생했다”며 “즉시 철거 및 수리와 함께 전체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해명했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수억 원을 들여 설치·교체한 장치가 약한 바람에도 부서졌다면 사전 검증과 사후 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는 증거”라며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폭염 대비라는 행정의 취지는 긍정적이지만, 안전과 유지 관리가 뒤따르지 않는 **‘보여주기식 행정’**과 특정 업체 편중 의혹은 결국 군민의 생명과 세금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