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이 “중앙과의 연결 고리”라며 떠들썩하게 추진했던 서울사무소 사업이 지금 어떤 꼴이 됐는지 군민들은 똑똑히 보고 있다. 사무실 하나 제대로 운영하지 못한 채, 장세일 군수는 공허한 약속과 핑계만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예산은 허공으로 사라졌고, 행정의 신뢰는 산산조각 났다.
지난 4월 1일, 서울사무소 소장을 채용하면서 군은 마치 금방이라도 서울에서 뭔가 큰일을 해낼 것처럼 포장했다. 하지만 불과 70일 만에 소장이 퇴사했고, 그 뒤 2달 동안 영광군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운영 계획도, 대안도, 책임도 없이 시간만 질질 끌었다. 결국 지금 남은 건 텅 빈 사무실과 낭비된 시간, 그리고 허탈해하는 군민뿐이다.
장세일 군수는 지난 7월 “예산을 절감해 무료 공간을 확보했고, 10월 국회 본회의 즈음 본격 가동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하지만 그 말은 한낱 ‘선언용 멘트’에 불과했다. 그가 내뱉은 약속은 단 한 줄도 현실이 되지 않았고, 행정은 멈춰 있었다. 공언은 거짓이 되었고, 서울사무소는 군수의 무능을 상징하는 ‘빈 껍데기’로 전락했다.
문제의 본질은 단순한 지연이 아니다. 이 사태는 의지와 리더십의 부재, 그리고 행정을 책임지겠다는 자세의 결핍에서 비롯됐다. 정무·정책 보좌관 중 단 한 명만이라도 파견했다면, 혹은 군수가 이 문제를 집요하게 챙겼다면 이런 상황까지 가지는 않았다. 하지만 장세일 군수는 실행보다 핑계를 택했고, 행정조직은 방향을 잃었으며, 군민들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았다.
서울사무소는 단순한 행정 사업이 아니었다. 군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지역 발전의 발판이자 군수 스스로 공언한 대표 사업이었다. 그러나 지금 이 사태는 ‘사업’이 아니라 ‘참사’에 가깝다. 예산이 편성됐지만, 그 대가는 빈 사무실 하나와 이월된 사업이다. 이것이 과연 정상적인 행정인가.
더 심각한 건 책임 있는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다는 점이다. 어느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군수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문제를 해결할 생각은커녕 “복합적인 문제였다”는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 변명은 책임을 대신할 수 없다. 군정의 수장이라면 결과로 보여줘야 한다. 지금처럼 입만 나불대는 ‘책상 위 행정’으로는 아무것도 이뤄낼 수 없다.
서울사무소 실패는 단순한 사업 차질이 아니다. 장세일 군수 행정 리더십의 민낯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건이다. 공허한 약속으로 시간을 흘려보내고, 책임은 흐리게 만들고, 예산은 허공에 날려버린 행정. 이보다 더 뼈아픈 평가는 없다.
군민의 세금으로 만든 약속을 군민의 눈앞에서 무너뜨린 장세일 군수. 이제는 핑계가 아니라 책임 있는 결단과 실질적 성과로 답해야 할 때다. 그렇지 않다면 이번 사태는 두고두고 ‘장세일 군수의 치명적 오점’으로 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