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장세일 영광군수는 군정의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며 정무·정책보좌관을 공개 채용했다. 국회 및 중앙행정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대외협력 정책 보좌 등 군정 발전의 중책을 맡긴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임명 이후 정무보좌관은 ‘막말·욕설 논란’, ‘결재 컨펌 논란’, ‘업무지시 갑질 논란’ 등 각종 구설에 휘말리며 군정 신뢰성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군 관계자 A씨는 “지역 기자들에게 욕설 논란이 불거지면서 내부에서도 곤혹스럽다. 맡은 역할만 제대로 해도 될 텐데, 불필요한 문제를 스스로 만드는 것 같다”며 우려를 표했다.
논란은 언론사 광고 배분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일부 지역 기자들은 정무보좌관이 특정 언론사를 지목해 “여기는 광고를 줄 것이다, 말 것이다”라는 발언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어, 언론 길들이기라는 비판까지 제기된다.
군민들의 시선도 곱지 않다. 영광읍 거주 최 모씨(52)는 “정무보좌관은 군정의 큰 그림을 지원하는 자리이지, 언론 문제에 개입할 위치가 아니다. 본연의 역할에만 충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모씨(36) 역시 “군 행정은 신뢰가 바탕인데, 불필요한 잡음이 반복되면 군민만 불안해진다. 결국 군수에게도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군정 핵심 보좌역으로 기대를 모았던 정무보좌관이 연이은 논란으로 신뢰를 잃으면서, 장세일 군수의 리더십도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영광군 발전을 위해 채용된 보좌관이 과연 ‘군정을 위한 인재’인지, 아니면 ‘정치적 부담’인지 군민들의 눈은 점점 더 날카로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