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이 법성단오제와 연계해 추진한 노인일자리사업 문화체험 활동이 부실 운영과 서류 조작 의혹으로 지역 사회의 거센 비판을 받고 있음에도, 군 기획예산실 감사팀 담당 주무관이 본지 보도 이후까지 사안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채 손을 놓고 있었던 사실이 드러났다. 주민들은 “감사팀이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군 내부 문서에는 어르신 문화체험과 안전관리, 예산 집행 절차가 구체적으로 규정돼 있었지만, 실제 현장은 전담 공무원 부재와 부실한 출석 확인, 허위 기록 등 계획과 전혀 다른 모습이 확인됐다. 그럼에도 감사팀 담당 주무관은 언론보도와 주민 민원이 제기된 이후까지 현장 점검조차 착수하지 못한 채 사태를 방치해 ‘탁상행정’ 비판을 자초했다.
문제는 당시 가정행복과 안○ 주무관의 태도다. 취재진이 현 근무지인 영광읍사무소를 찾아 직접 인터뷰를 요청했으나 그는 “이미 다른 부서로 이동했으니 이제는 상관없다. 할 말도 없고 마음대로 해라”라는 무책임한 답변으로 일관했다. 더욱이 대한노인회 측은 안 주무관이 ‘그렇게 유용해서 사용해라’라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증언해, 예산 집행 과정에서의 직·간접적 지시 의혹까지 불거지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행정 책임을 져야 할 공무원이 스스로 책임을 회피하고 방조했다면 이는 단순한 태만을 넘어서는 문제”라며 “안 주무관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법적 책임 규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기획예산실장이 연말 퇴임을 앞두고 사실상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군민들은 “실장이 퇴임만 기다리며 책임을 미루니 감사 기능이 사실상 마비됐다”며 “군수와 실·과장들이 직접 책임자를 문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문가들은 “군 감사 기능과 실무 부서 모두가 책임을 회피하면 행정 신뢰는 무너질 수밖에 없다”며 “감사원의 특별감사나 주민감사 청구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영광군이 ‘인지하지 못했다’는 변명으로 시간을 끌 경우, 이번 사건은 단순한 행사 운영 실패를 넘어 감사 조직과 실무 부서 모두의 책임 방기로 행정 신뢰 자체를 위협하는 사안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주민들이 요구하는 것은 변명이 아닌 즉각적인 조사와 책임자 문책, 그리고 재발 방지 대책이다.